견갑상신경의 문제는 흔하진 않지만 문제가 발생하면 어깨 관절에 통증과 극상근, 극하근에 문제를 만듭니다. 문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테스트에 대해서 알아보고 견갑상신경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견갑골 안정화 운동도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1. 견갑상신경(Suprascapular Nerve) 개요
견갑상신경은 상완신경총(C4) C5~C6에서 기원하며,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을 포함하는 혼합신경입니다. 극상근과 극하근의 기능을 담당하며, 감각적으로는 견갑상완인대, 견갑하활액낭, 견갑쇄골관절, 견갑상완관절낭을 지배합니다.
이 신경이 압박을 받으면 극상근과 극하근의 기능 저하 및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견갑골 내 특정 부위(극관절와절흔)에서 신경이 눌리면 극하근의 위축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2. 견갑상신경의 신경 경로
견갑상신경은 경추 5~6번에서 시작하여 전사각근과 중사각근 사이를 통과하며, 이후 견갑설골근 부근에서 견갑상신경으로 분지 됩니다. 이 신경은 견갑상절흔을 지나며, 극관절와절흔을 통해 극상근과 극하근을 지배하는 가지로 분포됩니다.
신경 경로를 이해하면 신경 압박이 발생하는 주요 부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견갑상절흔을 통과하는 부위에서는 상횡견갑인대에 의해 신경이 눌릴 가능성이 있으며, 극관절와절흔 부근에서도 압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견갑상신경 압박 부위 및 원인
1) 견갑상절흔(Suprascapular Notch)에서의 압박
견갑골의 움직임(전인, 하강)에 의해 신경이 당겨지면서 자극을 받음
신경이 지나가는 경로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견갑골이 외측으로 벌어질 때 손상 위험 증가
견봉쇄골관절 지배 신경이 포함되어 있어 어깨 후외측에 통증 유발 가능
2) 극관절와절흔(Spinoglenoid Notch)에서의 압박
극하근 부위에서 발생하는 압박으로 인해 극하근의 기능 저하 발생 가능
어깨의 반복적 사용(스포츠 활동)으로 인해 견갑골의 위치 이상이 발생하면 신경이 당겨지거나 자극됨
4. 견갑상신경 관련 테스트
1) 극상근 테스트 - Empty Can Test
어깨를 90도 외전하고 30도 전방 굴곡한 상태에서 엄지를 아래로 향하게 한다.
검사자가 환자의 손목을 아래로 누르며 저항을 주고, 환자는 이를 버틴다.
통증이 발생하거나 근력이 약화되면 극상근의 손상 가능성이 있음.
2) 극하근 테스트 - External Rotation test
환자는 앉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 팔꿈치를 90도 굽힙니다. 그다음 팔을 외회전 시키는 힘을 주라고 지시한 후 검사자는 외회전을 하지 못하게 막습니다. 힘이 너무 약하거나 통증이 일어나거나 저림 증상이 있다면 양성입니다.
5. 견갑골 안정화 운동(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견갑골을 올바른 위치에 유지하면서 어깨 근육을 강화하고 균형을 맞추기 위한 운동이 필요합니다. 특히 회전근개, 승모근, 능형근, 전거근의 강화가 중요합니다.
1) 파이크 홀드(Pike Hold)
손을 어깨너비보다 약간 넓게 벌리고, 다리는 엉덩이를 높이 들어 삼각형 모양을 만든다.
팔꿈치를 살짝 굽혀 어깨와 팔의 긴장을 유지하며, 복부에 힘을 주어 허리가 꺾이지 않도록 한다.
자세를 유지하면서 견갑골의 안정성을 강화한다.
2) 파이크 푸시업(Pike Push-Up)
파이크 홀드 자세에서 시작하며, 손을 어깨너비보다 약간 넓게 벌린다.
머리를 바닥 쪽으로 낮춘 후 팔을 굽혔다 펴기를 반복한다.
상체 근력을 강화하며 견갑골의 안정성을 높인다.
견갑상신경은 어깨와 회전근개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경 압박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조기에 파악하고 적절한 운동을 통해 견갑골을 안정화하는 것이 신경 손상의 예방 및 회복에 효과적입니다. 견갑골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파이크 홀드와 파이크 푸시업과 같은 운동을 통해 신경의 압박을 줄이고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고의 삼두근 운동법은? 트라이셉스 오버 헤드 익스텐션(Triceps Over Head Extension) 삼두근 근비대를 가장 효과적으로 시킬 수 있는 운동 [논문 참조] (0) | 2025.02.12 |
---|---|
서혜부 통증의 원인과 요추 신경총 압박: 전문적 접근 (0) | 2025.02.10 |
외측 대퇴피부신경(Lateral Femoral Cutaneous Nerve, LFCN) : 경로, 신경 압박 증상 및 이완 방법 (0) | 2025.02.07 |
손목뼈 탈구,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와 원인 총정리 (0) | 2025.02.06 |
러닝에서 발과 무릎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발 컨디셔닝의 최적화!! (3) | 2024.11.14 |
댓글